우리가 명절이면 송편을 먹는데 그 송편에 대해 유래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송편의 유래

곡식으로 만든 먹을거리 중 가장 귀하게 여겨지는 떡은 명절과 제사, 집안의 길흉사 때마다 단골로 등장하는 음식입니다.

일찍 익은 벼 즉, 올벼로 빚은 것이라 하여 ‘오려 송편’이라고 하는 추석의 송편은 한 해의 수확에 감사하며 조상의 차례상에

바친 대표적인 명절 음식이였죠. 하지만 송편의 유래에 대해선 명확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고 합니다. 단지 반달 모양의 송편이

달의 모양변화와 그 궤를 함께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죠. 반달 모양의 송편이 온달을 이루고자 하는 공동체 의식에서

시작됐는 것과 곧 차오르기 시작하는 반달의 모양을 상징했다는 주장이있습니다.

 

송편의 모양은 반달 모양이죠. 그런데 송편 안에 소를 넣고 접기 전에는 온달 모양입니다. 그러니까 송편은 온달과 반달이 되

셈이죠. 정월 보름에는 그 해의 곡식이 잘 여물기를 기원하는 여러 민속 행사가 있습니다. 팔월 보름에는 조상숭배 사상과

관련된 행사가 펼쳐지는데, 보름달 같이 곡식이 잘 여물게 해준 달에게 감사하는 달숭배 사상이 조상숭배 사상으로 바뀐 것이

라고 합니다. 올해 나온 햇곡식을 조상님에게 대접하며 감사하는 것이라고 하죠. 그런면에서 송편은 하늘의 씨앗인 보름달을

상징합니다. 달은 생성, 성장, 소멸의 단계를 거치는데, 그것은 곡식이 생성, 성장하는 것과 맥을 같이합니다.

추석 차례 때 송편을 놓는 것은 달의 열매를 상징하며 과일은 땅 위의 열매며 토란은 땅 밑의 열매로서 하늘의 열매, 땅 위의

열매, 땅 밑의 열매를 모두 조상님에게 드리는 의미가 있는 것이랍니다. 탈이 끊이지 않고, 좋지 않은 일이 잇따라 일어날 때

'떡 해먹을 집안'이라고 했습다. 집안에 흉사가 일어나고 뒤숭숭한 것이 귀신의 짓이라고 여겼기 때문에, 시루떡을 해서 귀신

게 먹여서 가정의 평화를 기원하는 것이랍니다. 이와는 달리 떡을 이웃에게 돌림으로써 액막이를 하기도 하죠. 지금도 떡을

하면 이웃에게 돌리는 풍습이 남아있는데 인사겸 친목을 도모하는 정표의 의미도 있지만, 붉은 팥이 시루떡 액막이의 의미도

지니기 때문이죠.  굿을 할 때나 고사와 시제를 지낼 때에는 반드시 상에 오른 것이 떡입니다.  고사나 시제를 하고 난 떡은 탈

이 나지 않는 복떡이라 집집마다 돌려 먹었답니다.

추석 차례 때 송편을 놓는 것은 달의 열매를 상징하며 과일은 땅 위의 열매며 토란은 땅 밑의 열매로서 하늘의 열매, 땅 위의

열매, 땅 밑의 열매를 모두 조상님에게 드리는 의미가 있는 것이입니다. 탈이 끊이지 않고, 좋지 않은 일이 잇따라서 일어날 때

'떡 해먹을 집안'이라고 하죠.  고사나 시제를 하고 난 떡은 탈이 나지 않는 복 떡이라 집집마다 돌려 먹었다고합니다.  지금

도 떡을 하면 이웃에게 돌리는 풍습이 남아있는데 인사 겸 친목을 도모하는 정표의 의미도 있다고 합니다.



또다른 유래를 보면

송편은 '소나무 송(松)'자에 '떡 병(餠)'자를 써서 원래는 '송병' 이었다고 합니다. 원래는 송병이었던 이름이 시간이 지나면서 송

편이라고 바뀌어 불리우게 됐다고 합니다. 떡에 소나무 잎을 넣어 만들기 때문에 송병인데, 지금 우리는 송편이고 부르고 있는

입니다. 송편의 모양은 '반달'을 의미합니다. 송편유래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그중 한 가지 설은 백제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백제 의자왕 때 궁궐 땅 속에서 거북등이 하나 쑥 올라왔다고 합니다. 그 등에 '백제는 만월이요, 신라는 반달이라'

고 쓰여 있었다. 의자왕이 이를 수상하게 여겨 유명한 점술사를 찾아 물어보았더니 '백제는 만월이라 이제부터 서서히 기울기

시작한다는 것이고, 신라는 반달이기 때문에 앞으로 차차 커져서 만월이 될 것이다'며, 역사의 운은 신라로 기울어졌다고 풀이

하였다고 합니다. 그후 신라가 삼국통일을 하여 그 말이 사실임을 증명한 셈이 된 것이죠 그리하여 반달모양의 송편이 앞으로

의 운을 의미하여 더 나은 미래를 위하여 반달모양의 송편을 빚어 먹었다고 합니다.

 

또 다른 유래로는

달 숭배사상을 가지고 있던 우리 선조들이 자연스럽게 달 모양을 본 뜬 송편을 빚어먹었는데, 동그란 보름달처럼 앞으로 더

 성숙하고 풍성해지라는 의미의 발전과정을 담고 있는 형상이라고 합니다. 이 설에서 재미있는 것은 송편은 소를 넣고 접기

 전에는 보름달의 모양이었다가 소를 넣어 접게 되면 반달의 모양이 되는 것인데, 송편 한 개에 보름달과 반달의 모양을 모두

가지고 있어 달의 발전과정과 변화를 송편 한 개에 담았다는 설도 있습니다.

 

송편은 왜 반달 모양일까요?

추석에는 ‘달도 둥글고 과일들도 둥글고 사람들 배도 둥근데 왜 송편 반달 모양인가’ 하는 의문도 가져볼 만합니다. 중국의

절 떡인 월병(月餠)은 보름달 모양이지만, 송편 반달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이는 보름달의 경우 날이 갈수록 점점 지는데

비해, 반달은 하루하루 채워진다는 의미가 있어 우리 조상들은 일부러 반달 형태로 빚었다고 합니다.

 

                                                         송편의 유래를 알아보았습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내의 오빠  (0) 2021.07.02
자동차 렌트와 리스의 차이  (0) 2021.02.27
이중 주차시 기어 중립주차 방법  (0) 2018.06.05
손난로  (0) 2018.04.20
스마트 카드키 배터리 교체방법  (0) 2018.04.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