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좁은길/알기 224

죄패

죄수를 고소한 내용과 그 죄수가 누구인지를 기록한 패 곧 죄목(罪目)과 죄수의 이름을 써서 형틀(십자가)에 붙인 나무판(막 15:26; 눅 23:38). 로마 관습에 따르면, 십자가 형은 국가적 중범죄자나 흉악한 죄인에게 시행되었는데 이때 처형되는 죄수는 죄목을 기록한 나무판이 달린 십자가를 스스로 메고 처형 장소까지 운반해야만 했다(마 27:37; 요 19:19-20). 예수께서 십자가에 달릴 때 부착했던 죄패에는 ‘나사렛예수 유대인의 왕’이라 새겨져 있었다(요 19:19). 출처 라이프성경

좁은길/알기 2020.08.28

골고다

해골’이란 뜻의 아람어 ‘굴굴타’의 헬라어 음역. 예루살렘 성 다메섹 문 북동쪽 230m 지점에 위치한 약 20m 높이의 작은 언덕으로 추정된다. 예로부터 처형 장소로 사용되어 해골이 많았거나 혹은 그 지형이 해골처럼 생긴 데서 이런 지명이 유래한 듯하다. 라틴어로 ‘칼바리아’(Calvaria). 영어 ‘갈보리’(Calvary)는 라틴어 읽기에서 유래하였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 곳이다(마 27:33-35). 출처 라이프성경사전

좁은길/알기 2020.08.24

구레네 시몬

복음서는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고 처형 장소로 갈 때 로마 병사들이 구레네의 시몬이라는 사람을 시켜 도와주도록 했다고 기록한다. 예수는 매질을 당해 몸이 무척 약해져 있었으므로 무거운 십자가를 혼자서 짊어질 수 없었을 것이다. 로마인들은 아무나 붙잡아 도우라고 명할 수도 있었을 텐데 시몬을 시킨 것을 보면, 아마 시몬이 그 일에 적합한 인물이었을 것이다. 그는 어쩔 수 없이 예수님의 십자가를 짊어지지만 이내 예수님의 고통에 깊은 연민을 느꼈을것이다.키레네(구레네)는 아프리카 북부 해안의 도시였다. 마가복음에는 시몬이 '알렉산더와 루포의 아버지'라고 되어 있는데, 그 두 사람은 초기 그리스도교도였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시몬도 그리스도교도였을 가능성이 높다. 시몬에 관한 흥미로운 전설이 하나 있다. 그는 ..

좁은길/알기 2020.08.19

구레네

담’이란 뜻. 북아프리카 리비아의 중요 도시. 헬라인들에 의해 세워진 도시로서 B.C. 5세기 이후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이 집단 거주했다. 로마 병정에 의해 예수님의 십자가를 억지로 대신 졌던 시몬의 고향이기도 하다(눅 23:26). 오순절을 지키기 위해 예루살렘을 순례한 디아스포라 유대인 중에는 이 지역 출신들도 있었다(행 2:10). 한편, 구레네 출신 중에는 스데반과 변론하며 복음에 도전한 유대인도 있었지만(행 6:9) 반대로 루기오와 같이 복음을 전파하고 이방 지역 최초의 교회인 수리아의 안디옥 교회를 개척하고 교회를 지도하는 데 크게 일조한 신실하 성도들도 있었다(행 11:20-21; 13:1). 출처 라이프성경사전

좁은길/알기 2020.08.14

가시관

가시를 엮어서 만든 둥근 관(冠). 로마 병사들이 예수님을 처형하기 전 육체적 고통을 주기 위해 씌운 것으로, ‘유대인의 왕’이라는 예수님의 주장을 조롱하기 위한 의도도있었다. 한편, 헬라어로는 ‘아칸디노스 스테파노스’인데, ‘아칸도스’는 가시나무의 일종으로 히브리어 ‘시림’에 해당하는 헬라어다(전 7:6; 사 34:13; 호 2:6; 나 1:10). ‘시림’은 가시나무의 일종으로 높이가 1-3m 정도 되며 날카로운 가시가 달린 관목으로 구부리기 용이해 모자처럼 둥글게 엮기 쉬웠다. 예수께서 쓰신 가시관은 이것으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이며, 그래서 이 나무는 ‘그리스도의 가시’(Christ’s thorn)로도 불린다. 개역한글판에는 ‘가시 면류관 ’(마 27:29)으로 표현하고 있다.출처 라이프성경사전

좁은길/알기 2020.08.12

바라바

바라바는 아주 사소한 인물이면서도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아냈다.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가 예루살렘에서 재판을 받을 때 로마 총독 빌라도는 유대인들에게 유월절의 관례에 따라 죄수 한 명을 풀어주겠다고 말했다. 사람들은 유대 종교회의에서 신성모독으로 고발된 선지자 예수님과 악명 높은 살인자이자 혁명가인 바라바 중 한 사람을 선택해야 했다. 유대교 지도자들이 군중을 선동해 바라바의 이름을 외치게 한 덕분에 바라바는 풀려났고 예수님은 십자가에 못 박혀 처형되었다(마가복음 15:7~15). 바라바란 아버지의 아들’이란 뜻이며 히브리어 ‘바르 아브’의 헬라어 음역. 강도요(요 18:40), 폭동과 살인죄로 기소되었던 자이며 열심당의 핵심 당원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Rengstorf).

좁은길/알기 2020.08.02

유대인

구약시대 유대 왕국에 속한 사람들(유다와 베냐민 지파)을 가리켰다(왕하 16:6; 25:25). 물론 유다 왕국이 바벨론에 멸망하기 전까지는 주로 ‘유다인’으로 호칭되었다. 포로기 이후부터 ‘유대인’이라는 호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포로 이후 히브리인들은 지파를 초월하여(북왕국 지역에 거주하는 자들조차도) 유대인이라 불리게 되었다. 그리고 신약 시대에는 혈통적으로 이스라엘 사람이나 유다 지역의 거주민 및 유대교로 개종한 사람들까지도 포함하여 통칭하는 말로 쓰였다(마 2:2). 또 다른 민족이 유대 지역 이외에 다른 거주지에 속한 자라는 뜻인 ‘이방인’과 대조되는 단어로 언급되기도 했다(막 7:3; 요 2:6; 행 10:8; 고전 1:22). 특히 초대교회 시대에는 기독교에 반대하는 유대인들을 가리켜 진..

좁은길/알기 2020.07.28

피밭

아람어로는 ‘아겔마다’(Akeldama)라고 한다. ‘피밭’이라 일컬어지는데 이에 대해 두 견해가 있다. 첫째, ‘핏값으로 마련한 밭(땅)’이란 견해. 즉, 가룟유다가 스승인 예수님을 은 30에 팔고 그 댓가로 구입한 토기장이의 밭을 가리킨다(마 27:7-8). 이곳은 예루살렘 남쪽 힌놈의 골짜기 경사면에 위치한 땅으로 보인다. 둘째는, ‘가룟 유다가 그곳에서 자기의 피를 뿌린 곳’이라는 견해. 즉, 예수를 판 가룟 유다는 죄책감을 못이겨 이 밭에서 목매어 자결하였고, 그 시신이 땅으로 떨어져 배가 터져 처참한 최후를 맞았다고 한다(행 1:18-19). 일반적으로 양 견해 모두를 취한다(Hackett, Knowling). 출처 라이프성경사전

좁은길/알기 2020.07.23
반응형